신현광 교수
주요경력
총회교육부 집필간사 (1985 ~ 1987)주요활동
1985.-1987.2.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(총회) 교육국 집필간사 역임 1987.3.1. 대한신학교(현 안양대학교) 기독교교육과 교수임용 1989.3.-1992.2. 대신대학(현 안양대학교) 기독교교육과 학과장 역임 1989.-1991. <생수>,<대신문화> 지도교수 1991.-1992. 대학신문사 주간 1993(6주) Calvin 대학The Henry Meeter Center for Calvin Studies Faculty Research Fellowship 2003.1.-2004.2. 미국 Emory 대학 Candler School of Theology Visiting Scholar 2005.2.-2007.2. 안양대학교 교목실장 역임 2008.3.-2010.2.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장 역임 2010.5.-2011.5.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회장 역임 2010.5.-현재.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학회지 <복음과 실천신학> 발행인 2012.10.-2014.7.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장 역임 2012.10.-2014. 전국기독교대학교 대학원장협의회 회장 역임 2014.-2019. 한국실천신학회 교회교육분과 회장 역임 2017.7.-2018.2. 안양대학교 학생지원처장 역임 2018.2.-2020.8 안양대학교 교목실장 역임 2021.10-현재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장기타 및 학술관련 경력
1985.-1987.2.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(총회) 교육국 집필간사 역임 1993(6주) Calvin 대학The Henry Meeter Center for Calvin Studies Faculty Research Fellowship 2003.1.-2004.2. 미국 Emory 대학 Candler School of Theology Visiting Scholar 2010.5.-2011.5.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회장 역임 2010.5.-현재.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학회지 <복음과 실천신학> 발행인 2012.10.-2014. 전국기독교대학교 대학원장협의회 회장 역임 2014.-2019. 한국실천신학회 교회교육분과 회장 역임연구 관심 분야
교육신학, 기독교교육철학, 목회상담학, 비교종교학강의 분야
성경과 교육, 기독교교육사, 종교심리, 비교종교학, 교육신학, 기독교교육철학, 목회상담학주요 논문 및 저서
[논문] “Gary R. Collins의 제자화 상담에 관한 연구”. 석사학위(M.A.)논문. 총신대학교 대학원. 1984. “교회청소년과 전도생활”. 「교사의 벗」(1988.11),105-17. “한국교회내의 Shamanism적 요소에 관한 비판적 연구”. 석사학위(Th.M.)논문. 총신대학교 대학원. 1989. “기독교교육목적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연구논문집」 1989. 제9집. 159-221. “기독교상담의 심리학적 기저”. 「대신연구논문집」 1990. 제10집. 403-435. “생명의 윤리: 성경적 관점에서”. 「대신연구논문집」 1991. 제11집. 607-631. “상담과 제자훈련의 상관성 연구”. 「대신대논문집」 1991.제1집. 421-448. “Clyde M. Narramore와 Jay E. Adams의 상담이론 비교연구”. 「대신대논문집」 1992. 제2집. 231-255. “Van Til과 Edward J. Carnell의 변증방법론의 비교”. 「대신대논문집」 1993. 제3집. 131-144. “인간화를 위한 기독교교육에 대한 우리의 이해”. 「신학연구」 안양대. 1995. 제3집. 93-114. “초기 한국교회의 사경회를 통한 신앙교육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연구」 1996. 제4집. 607-631. “교육을 통한 목회와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: 한국교회 성장의 새로운 방안으로서의 교육목회적의의”. 박사학위(Ph.D.)논문. 총신대학교 대학원. 1996. “한국교회의 부흥회에 관한 소고”. 「신학연구」 1997. 제5집. 165-184. “교회는 어떻게 교회다워질 수 있는가?”. 「신학연구」 1997. 제6집. 165-184. “예전의 교육목회적 의미”. 「신학지평」 안양대. 1998. 제7집. 1-41. “Gary R. Collins의 상담에 관한 소고”. 「신학지평」 1998. 제9집. 219-246. “성만찬의 이해와 신앙교육 관련성에 관한 소고”. 「신학지평」 1999. 제10집. 91-118. “교부시대의 교육에 관한 소고”. 「신학지평」 1999. 제11집. 149-184. “새 천년을 위한 복음주의적 목회의 대안으로서의 교육목회”. 「성경과 신학」 2000. 제28권. 179-201. “신앙공동체 교육의 적용에 관한 소고”. 「신학지평」 2000. 제12집. 149-190. “성경적·실천적 입장에서 본 인간생명의 존엄에 관한 고찰”. 「한국개혁신학회논문집」 2000. 제7집. 383-414. “어린이 예배 갱신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지평」 2000. 제13집. 237-258. “교육목회의 성경적 배경 관한 연구”. 「실천신학논총」 2001. 제2권. 91-118. “교육목회의 신학적 근거에 관한 연구”. 「개혁신학논문집」 2001. 제10권. 274-288. “신앙교육 방법으로서의 가정예배에 관한 소고”. 「신학지평」 2001. 제14집. 36-56. “종교개혁과 칼빈의 교육”. 「신학지평」 2002. 제15집. 55-73. “청소년과 신앙문답교육”. 「복음주의실천신학논총」 2002. 제3권. 151-168. “교육목회와 선교교육”. 「복음주의실천신학논총」 2002. 제4권. 167-181. “교육목회와 가정교육에 대한 고찰”. 「신학지평」 2003. 제16집. 50-65. “교회성장의 성경적 배경”. 「복음주의실천신학논총」 2004. 제7권. 165-194. “Calvin의 교육사상과 교육활동에 관한 연구”. 「복음과 실천」 2004. 제8권. 147-168. “평신도 훈련에 관한 소고”. 2004. 「신학지평」 제17집. 5-26. “교육목회의 이론제기와 과제에 대한 연구”. 「복음과 실천」 2005. 제9권. 250-274. “한국교회 성장에 나타난 문제점(1)”. 「복음과 실천」 2005. 제10권. 301-330. “한국교회 성장에 나타난 문제점(2)”. 「복음과 실천」 2005. 제11권. 320-354. “교회 교육행정의 개선에 관한 연구”. 「복음과 실천」 2006. 제12권, 246-263. “초기 한국교회 성장에 관한 연구”. 「복음과 실천신학」. 2007. 제13권, 193-213. “일제시대 한국교회성장에 관한 연구”. 「복음과 실천신학」. 2007. 제14권, 148-168. “교육목회를 위한 상담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지평」 2007. 제20집, 5-22. “해방 이후 한국교회 100주년 기간의 한국교회성장에 관한 연구”. 「복음과 실천신학」 2008. 제16권. 154-173. “신앙교육 관점에서의 교회이해”. 「신학지평」 2008. 제21권, 33-60. “한구석밝히기와 평신도 사역에 대한 고찰”. 「한구석밝히기논문집」. 2008. 27-50. “신앙교육의 주요 요소로서의 성찬에 관한 고찰”. 「복음과 실천신학」 2009. 제19권, 148-177. “칼빈주의 입장에서의 성례와 신앙교육의 이해”. 「신학지평」 2009. 제22집, 7-36. “한국교회 복음전도 방향에 관한 연구”. 「복음과 실천신학」 2009. 제20권, 134-57. “코메니우스의 교육신학사상에 관한 연구”. 「복음과 실천신학」 2011. 제23권, 9-41. “코메니우스의 교수방법론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과 실천」 2011. 제28호, 651-681. “한국교회 복음전도 지평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지평」 2011. 제24집, 37-60. “기독교교육의 입장에서 보는 교회성장” . 「복음과 실천신학」 2012. 제25권, 9-33. “교육목회에 있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과 실천」 2012. 제32호, 477-512. “A Research on Biblical Found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”. Theology and Praxis. 2012. Vol.33, 447-475. “기독교교육의 성경적 토대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과 실천」 2013. 제34호, 361-390. “청소년의 신앙문답교육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과 실천」2013. 제35호, 355-378. “기독교교육의 신학적 근거에 관한 연구”. 「복음과 실천신학」 2013. 제27권, 479-511. “한국교회 초기 사경회와 신앙교육”. 「신학과 실천」 2013. 제36호, 180-213. “A Research on Historical Found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”. Theology and Praxis. 2013. Vol.37, 441-474. “교육목회에 있어서 목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과 실천」 2014. 제42호. 607-637. “기독교교육의 철학적 토대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과 실천」 2014. 제38호, 513-541. “Letty M. Russell의 교육론에 대한 연구”. 「신학과 실천」 제2014. 39호, 329-354. “A Research on the Ministry of Holy Spirit in Teaching and Learning”. Theology and Praxis. 2014. Vol.40, 225-265. “기독교교육철학: 기독교교육의 철학적 기초”. 「신학지평」 2014. 제27집, 246-263. “교육목회에 있어서 목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”.「신학과 실천」 2014. 제42호, 607-637. “기독교교육에 있어 교육목적에 관한 연구”. 「신학과 실천」 2015. 제44호, 329-358. “교육목회와 가정의 신앙교육에 대한 고찰”. 「신학과 실천」 2015. 제47호, 31-62. “기독교교육과 선교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”. 「신학과 실천」 2016. 제49호, 289-312. “A Research on Psychological Found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”. Theology and Praxis. 2017. Vol.55, 359-391. “A Research on Theological Found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”. Theology and Praxis. 2019. Vol.65, 213-242. “A Research on Aims and Objectives of Christian Education”. Theology and Praxis. 2020. Vol.70, 273-297. “경교의 당(唐) 전래와 토착화에 대한 고찰”. 「신학과 실천」 2021. 제77호, 533-566. [저서] 『하나님의 언약과 생활 I』 서울 :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, 1986. 『하나님의 언약과 생활 II』 서울 :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, 1987. 『교육목회와 교회성장』 서울 : 민영사, 1997;2005;2016. 『말씀 · 믿음 · 삶 I』 서울 :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,1998. 『말씀 · 믿음 · 삶 II』 서울 :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, 1999. 『말씀 · 믿음 · 삶 III』 서울 :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, 2000. 『창세기, 살아 숨쉬다』 서울 : 민영사, 2009. 『그리스도인이 보는 세계종교』 서울 : 민영사, 2011. 『출애굽기, No Turning Back』 서울 : 민영사, 2013. [공저] 『복음주의 설교학』 서울 : CLC, 2003. 『21세기 실천신학개론』 서울 : CLC, 2006. 『복음주의 목회학』 서울 : CLC, 2009. 『복음주의 교회성장학』 서울 : CLC, 2012. 『21세기 목회학총론』 서울 : 대서, 2019. [번역서] Kuiper, R. B. 『하나님 중심의 복음전도』 서울 : 민영사, 1988;2000;2005;2016. Byrne, Herbert W. 『기독교교육학총론』 서울 : 민영사, 1988;2005;2016. Anthony, Michael J. 『복음주의기독교교육학사전』 서울 : CLC, 2010.(공역 및 책임감수)이정관 부교수
주요경력
안양대학교 시간강사 (1998 ~ 1998)유지은 조교수
주요경력
교육 및 연구 경력
Leavell Center for Leavell Center for Evangelism and Church Health 연구 및 행정조교 (2008-2012) New Orleans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Scientific Research II TA 2012 침례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시간강사, 2015-2016 숭실사이버대학교 기독교상담복지학과 시간강사, 2016 안양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조교수, 2017-현재기타 및 학술관련 경력
한국기독교교육학회 회원, 2017-현재 한국복음주의기독교교육학회 분과장(교육상담), 2017-현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부회장 및 분과장, 2020-현재연구 관심 분야
Christian Education, Educational Psychology, Spiritual Well-Being, Subjective Well-Being, Gender Differences강의 분야
기독교교육 및 교직 과목주요 논문 및 저서
(2016). Evaluation of the spiritual well-being scale in a sample of Korean adults.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, 55(4), 1289-1299 (2016). Prayer and subjective well-being: The moderating role of religious support. Archive for the Psychology of Religion, 38(3), 301-315. (2017). The effect of religious involvement on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Christians: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-being and self-esteem. Journal of Pastoral Care & Counseling, 71(4), 257-266. (2019). Religious practices and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Korean adults.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, 142, 7-12. (2020).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parents’ marital satisfaction, parental satisfaction, and parent–child relationship quality.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7 (7), 2270-2285. (2020). Gender role attitude, communication quality,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Korean adults. Journal of Family Studies, 1-18. (2021). Gender role ideology, work–family conflict, family–work conflict,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Korean dual-earner couples. Journal of Family Issues, 0192513X211026966 (2021). Ministerial satisfaction and spiritual well-being among women ministering in Korean Baptist churches. Current Psychology 40 (3), 1194-1202 (2021).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Military Life and Ministry of Korean Christian Female Military Pastors. Religions, 12(3), 153. (2022).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, Spiritual Well-Being, and Subjective Well-Being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. Religions, 13(6), 505